반응형 flush1 JPA - 플러시(Flush)란? JPA의 flush에 대해 알아보자. 플러시란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작업 Flush의 원리 보통 트랜잭션 Commit이 발생할때, flush가 동작한다. 이때, 쓰기지연 SQL저장소에 등록된 insert, update, delete query들이 전송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이, flush가 발생한 시점에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우는게 아니라, 그대로 유지한채로 DB와 동기화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트랜잭션이라는 작업단위가 중요해지고 Commit직전에만 동기화하면 된다. Flush의 동작 구조 변경 감지 (Dirty Checking) 수정된 엔티티를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등록 쓰기 지연 SQL 저장소의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전송(등록, 수정, 삭제 query) Flush를.. 2022. 12.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