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HCache1 SpringBoot + Gradle기반의 EhCache 사용 오늘은 Cache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변동되지 않는 Data를 많은 사용자가 조회할 경우 모든 요청마다 DB에 조회 하는게 과연 올바른 방식일까? 게다가 slow query일 경우 사용자의 대기시간은 더욱 길어지며, Connection pool의 순환도 쉽지 않을 것이다. cache를 통해 이러한 상황을 해결해보자! 💡 Cache ? Cache는 DB 조회 시 출력된 결과 값을 메모리 혹은 디스크에 보관하고 있다가 재호출시 DB 조회를 하지 않고 메모리에 있는 결과값을 그대로 제공해준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Cache는 주로 반복적으로 동일한 결과값을 제공해주거나, 각 작업의 시간이 오래걸리거나 서버에 부하를 주는 경우 보통 사용한다. 실제 프로젝트를 하는 사례가 아니기 때문에 Redis같은 No.. 2022. 2. 10. 이전 1 다음 반응형